substhumb

Subskeep

구독관리자앱은 사용자의 구독서비스들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알림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서비스의 갯수와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구독 서비스를 이용 하는 것입니다. 또한 여러 구독 서비스의 결제일 알람과 해지 방법 안내를 통해 사용자의 불편함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합니다.

구독관리자앱의 Design Process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서비스의 배경 및 문제의식
  2. 설문조사와 문제정의
  3. 유저 페르소나와 저니를 통한 ideation
  4. 유저 플로우와 IA 설계
  5. 와이어프레임 및 Hi-Fi 디자인

1. Challenge & Background

구독 시장의 성장

빠르고 간편하며 유용한 유료 구독 서비스 모델은 밀레니얼 세대뿐만 아니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모든 세대의 삶의 양식입니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가들에게 구독 모델은 유용한 고객이자 데이터이며 비즈니스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marketImage

전세계적으로 구독시장은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음악, 게임, 영화, 도서등 콘텐츠 사업자들이 구독 모델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으며, e-커머스 시장조차도 유료 멤버쉽 형태로 구독 모델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구독서비스의 그림자

쉽게 구독하고 이용하는 서비스인 만큼 사용자들은 효용성이나 흥미가 떨어질 때 쉽게 구독을 해지합니다. 맥킨지 조사에 따르면 구독에 가입한 소비자 1/3이 3개월 이내에 서비스를 해지하며 6개월이내에 1/2이 해지를 합니다. 특히 푸드킷을 처음 사용한 소비자의 60-70% 는 높은 가격 또는 비슷한 대체 서비스로 사용으로 인하여 6개월이내에 서비스를 해지합니다.

View : Mckinsey Report

국내 한국콘텐츠진흥원 조사에 의하면 구독형 콘텐츠 이용 중 입은 피해에는 허위·과장 광고에 의한 피해, 콘텐츠 및 서비스 하자, 제공 중단, 부당 요금 청구등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월 자동 결제일자를 정확히 알리지 않아 발생한 금전적 피해 유형 또한 있으며 조사 대상자의 76%가 피해 발생 전 경고 문구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View : Subscription Article

2. Research & Define

앞의 자료를 통해 구독 서비스의 배경과 문제를 인식하였습니다. 좀 더 정확한 문제 정의와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하여 구독서비스에 대한 국외 리서치 자료와 직접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문제점을 정의하고 사용자를 파악하며 사용자의 니즈를 확인합니다.

외부 설문조사

mckinseyImageView : Mckinsey Report

Quotes from Mckinsey Survey

  • 구독을 시작하는 동기는 주변 사람의 추천, 금전적 이득, 새로운걸 시도해보자 하는 욕구가 주 원인이다.
  • 구독을 유지하는 이유는 개인화된 경험 및 효용, 그리고 금전적 이득이 크게 작용하다.
  • 구독을 취소하는 사유는 제품/경험에 대한 불만족, 금전적 이유 와 필요할 때 사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내부 설문조사

맥킨지의 자료를 통해 얻은 데이터와 더불어 우리는 추가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주변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내 사용자들이 느끼는 지점이 비슷한지, 추가적으로 해지를 하는 행위에 있어서 불편한 점이 어떠한지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surveyImage

Key Point from Survey

  • 사람들은 평균 1-2개의 유료 구독 서비스를 이용한다. (85%)
  • 사람들은 결제 지출 내역을 통해 결제일을 확인한다. (78%)
  • 사람들의 구독 서비스의 이용과 해지여부 결정 요인은 비용 지출액에 있다. (70%)
  • 사람들은 재결제일을 모르거나 귀찮고 바쁜 이유로 구독 해지의 시기를 놓친다. (54%)
  • 사람들은 구독 해지 과정이 까다롭다고 느끼며 해지 버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다(86%)

문제 정의 및 가설

앞선 자료와 배경을 통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사용자를 파악하며 사용자의 니즈를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문제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가설의 잠재적 가치에 대한 의미를 정리합니다.

Problem

"사용자들은 여러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며 합리적 소비를 하며 소비자 이득의 극대화를 추구한다. 이 과정속에서 구독을 바꾸기도 하고 끊기도 하는데 해지 시기를 놓치거나 해지 과정에 까다로움과 번거로움을 느낀다"

Hypothesis

"사용자들에게 여러 구독을 통합적, 유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구독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단계별 경험에 개입을 하여 개별적인 문제들을 통합적인 방법으로 해결한다."

Potential Solution

모든 구독 상황을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여러 서비스간의 비교를 통하여 소비자의 이득을 극대화한다. 구독 경험의 마지막 단계인 해지 과정에 가이드를 제공하여 구독 모델에 대한 부정적 경험을 최소화합니다.

3. Ideation

앞선 유저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유저에 대한 페르소나를 구성하였습니다. 페르소나를 통해 유저 저니맵을 도출하며 잠재적 유저에 대한 구체화를 진행하였고 구체화된 유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플로우를 정리하였습니다.

User Personas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유저의 정보를 통해 저희는 두 명의 유저 페르소나를 만들었습니다. 두 명의 유저 페르소나는 나리아와 단으로써 구독과 해지의 과정에서 각각 다른 행동과 감정, 불편함을 느끼는 서비스의 핵심 타겟 유저입니다.

userPersona

User Journeys

페르소나 저니 맵을 만듬으로써 나리아와, 단이 구독과 해지의 과정 속에서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어떤 문제에 직면함으로써 어떤 점을 개선할 수 있는지 파악하였습니다.

userJourneyNariauserJourneyDan

4. Design Flow

User Flows

유저 플로우에서는 페르소나 저니 맵을 통하여 파악한 유저의 구독과 해지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단계를 작성합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에서 유저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계합니다.

nariaflowdanflow

IA Sitemap

사이트맵에서는 유저 페르소나, 유저 저니, 유저 플로우를 정리하여 설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각 핵심 액션마다 어떠한 플로우를 가지는지 구조적인 흐름을 파악합니다.

siteMapia

5. Design Plan

유저 플로우와 IA를 통해서 서비스의 Mid-Fidelity 와이어프레임을 설계하였습니다. 초기 설치를 제외하고 주요 세 가지 기능이 있으며 아래와 같습니다.

Core Features

Subscription - 서비스의 메인으로써 구독 목록이 카드로 나타납니다. 구독에 대한 알람과 관리, 해지에 관한 과정까지 도와주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Discover - 새로운 구독을 찾는 것을 도와줍니다. 빠르고 쉽게 구독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Stats - 관리하고 있는 구독에 대한 통계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좀 더 생산적으로 지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Mid-Fi Wireframe

wireframe

Hi-Fi Design Product

iOS 기본 컴포넌트를 중심으로 만든 Mid-Fidelity 와이어프레임으로부터 Hi-Fidelity 페이지 디자인을 하였습니다. 주요 기능 및 세부 기능을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Onboarding

onboarding

Scanning

scanning

Home(Subscription)

subscription

Statistic

stats

Discover

discover

Detail

detail

Search

search

마치면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느꼈던 경험은 사용자 리서치와 행동에 관한 정리는 앱 설계 구성의 논리까지 분명하게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작은 불편을 느꼈던 지점에서 생각을 출발하였고 불편한 지점에 대한 자료를 최대한으로 조사 및 압축, 정리함으로써 핵심 사용자에 대한 페르소나를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핵심 사용자의 페르소나를 작성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사용자 행동 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었습니다. '왜 이런 서비스를 만드는가'에 대한 질문의 대답은 언제나 사용자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던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